SK Networks Family AI bootcamp 강의노트

이직과 취업, 전략이 필요한 이유: 실무자가 알려주는 회사 고르는 법

HyunJung_Jo 2025. 7. 7. 14:11

이직이나 첫 직장을 준비할 때, 우리는 너무 막연하게 "좋은 회사"만을 찾습니다. 하지만 좋은 회사란 무엇일까요? 높은 연봉? 복지? 네임밸류?
그보다 먼저, 내가 오래 일할 수 있는 회사인지부터 따져봐야 합니다. 아래는 실무 관점에서 정리한 회사 고르기 체크리스트입니다.


✅ 1. 나의 이력 정리부터

● 공백기는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?

  • 이유를 명확히 하되, 지속적인 성장 노력이 있었음을 보여줘야 합니다.
  • 예: "기술 재정비와 관련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실무 역량을 보완했습니다."

● 첫 직장 선택 이유는?

  • 왜 그 회사를 택했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.
  • 연봉, 복지보다는 비전, 성장 가능성, 배울 수 있는 점에 초점을 맞추세요.

● 퇴사/이직 이유는?

  • "성장 기회를 찾기 위해", "보다 명확한 커리어 방향을 위해"처럼 긍정적 이유로 정리하세요.
  • 이직 사유는 곧 '이 사람이 오래 다닐 수 있을까'를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.

✅ 2. 경력과 회사의 적합성 체크

  • 내 경력과 지원하는 직무가 얼마나 자연스럽게 연결되는가?
  • 지나치게 방향이 다른 경우, 전환 동기와 준비 과정을 잘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.

✅ 3. 지역별 산업 특징 파악

권역특성
CBD (종로, 광화문) 전통 대기업 중심. 금융, 건설 등 보수적인 산업군. 경력직 선호.
YBD (여의도) 스타트업·중소기업 많음. 빠르게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.
GBD (강남, 선릉, 역삼) IT·상업 중심. 외국계 기업도 다수. 빠른 변화, 높은 연봉 기대 가능.
 

Tip: 가능하다면 집과 가까운 지역을 우선 고려하세요. 장기적으로는 체력과 지속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


✅ 4. 기업 정보 분석법

Koreport로 기업 신용정보 확인

→ "회사 이름"을 검색하면 재무 건전성, 신용등급, 부채비율 등 확인 가능

② 매출 vs 인원수

  • 일반적으로 1인당 매출이 1억 원 이상 나오는지 확인
  • 평균 연봉의 약 3배 이상 매출이 나와야 회사가 지속 가능함

③ 이직률

  • 평균 근속연수, 직원 수 변화로 내부 분위기 추정 가능
  • DART 공시정보에서 분기보고서 확인 가능 (DART 바로가기)

④ 임직원 현황, 연봉 확인

  • 1인 평균 급여 / 근속연수는 조직 안정성과 만족도를 보여줍니다.

✅ 5. 면접 전, 회사 개요를 꼭 읽자

  • 회사가 무슨 사업을 하는지, 매출과 주요 고객은 누구인지 정도는 숙지해야 합니다.
  • 이걸 아는 것만으로도 면접 분위기와 답변 신뢰도가 완전히 달라집니다.

🎯 정리하며

이직이나 취업은 단순히 '들어가는 것'이 목적이 아닙니다.
오래 다닐 수 있고, 성장할 수 있는 곳을 찾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.

기술 실력도 중요하지만, 회사를 고르는 눈도 실력입니다.
앞으로는 기술과 전략, 두 가지 모두 갖춘 취준/이직 준비자가 되길 바랍니다.